백엔드가 json을 뿌려주면 프론트가 주워서 예쁘게 화면에 출력한다.

이게 정말 간단히 설명한 웹 서비스 동작방식이라고 생각한다.

단순히 정보를 받기만 하면 GET 이고 서버에게 사용자의 정보를 담아서 결과를 받고 싶으면 POST 이다.

useState()는 쉽게 말하자면 특정 변수를 바꾸기 위해서 핸들링 하는 기능이다. 이런 컴포넌트가 있을 때,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체크를 풀었다 걸었다 할 때 마다 서버에게 보내줄 json의 true, false도 바뀌어야 한다. 그 때 바로 useState()를 쓴다.